古代中國と皇帝祭祀
-
金子修一 著 『古代中國と皇帝祭祀』 9장 상주문 요약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3. 27. 12:57
汲古書院, 平成13년. 제9장 『宋書』 禮儀志에 의한 南朝 上奏文의 연구 1. 서언 공문서의 형식은 국가의 의지형성의 과정이자, 여러 관청의 統屬관계를 반영하는 것임. 관료제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활용 됨. 이 분야에 대한 연구로 고대사 분야에서는 漢代와 唐代에 성과가 집중되어 있음. 漢代: 居延을 중심으로 하는 簡牘, 蔡邕의 『獨斷』,『史記』 三王世家. 唐代: 돈황과 토번의 고문서군의 발견, 公式令 佚文 등의 공문서형식 관련 문헌. 魏晋南北朝기간의 공문서에 관한 연구 축적은 극히 부족하며 공문서형식을 구체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사료가 극단적으로 부족함. 『宋書』禮儀志의 특수한 형식의 상주문을 통해 이 시기 공문서의 형식을 알아보고자 함. 2. 『宋書』 禮儀志 上奏文의 형식 『宋書..
-
金子修一 著 『古代中國と皇帝祭祀』 4, 5장 요약정리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3. 27. 12:47
pp.140-196 제4장 「위진남북조 황제제사의 추이」 제5장 「당대황제제사의 특징」 제4장 위진남북조 황제제사의 추이 1. 서언 • 진한제국의 성립하여 중앙집권체제가 정비되면서 새로운 황제권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권위의 근원을 보여주기 위한 황제 제사의 역할이 커짐. ex) 황제체제 부활을 계획한 중화민국대총통 원세개가 북경천단에서 시행한 남교사도 정권의 정통화와 국민의 지지가 필요불가결했기에 원세개가 종래금지하였던 국민의 제천의례에의 참가를 장려한 것임. • 종래 중국의 황제제사 연구는 유교해석학의 한 분야였음. 황제제사의 중심이 되는 남교와 종묘의 제사가 유교의 경전을 주된 전거로 하고 있어 제사의례의 해석학과 예학이 유교연구의 한 분야로서 발달해왔기 때문. 예학에서는 제사의례를 변화시킬 필요가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