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
[책] 최유준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 2011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24. 11. 15. 17:01
최유준의 라는 책은 음악 형식이나 작품만을 논하는 음악 분석을 비판하고 음악을 사회나 문화 그리고 정치적 의미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하는 책이다.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 언어학자이자 인류학자인 월터 옹(Walter J. Ong)의 가 제시한 구술성(orality)-문자성(literacy)-2차적 구술성(secondary orality)의 범주를 음악분석의 문화적 배경의 도구로 활용하여 음조의 다양성과 표준화 사이의 갈등이 근대의 문자성(literacy)와 밀접한 관련을 가졌다는 전제 하에 음악사의 큰 흐름을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최유준은 음악에서의 음조가 어떤 문화적 의미를 갖는가라는 질문으로 책을 시작한다. 우리는 노래를 들으면 바로 이 노래는 슬퍼, 어두워, 혹은 밝아, 즐거워라는 감정을 ..
-
[책]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의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lessness, 1976)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24. 11. 13. 22:48
지리학자인 Edward Relph의 박사논문을 출판한 "장소와 장소상실"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측면으로서의 장소를 분석한다.책 제목인 '장소'와 '장소상실'은 '장소와의 끊임없는 유대' vs '광범위한 획일화'를 뜻한다.여기에서 말하는 "장소(Place)"는 개인이나 공동체가 애착과 소속감을 가지는 중요성을 지닌 특정 위치를 의미한다. 조상 대대로 살아온 집일 수도 있고, 신성한 공간인 종교건축일 수도 있고, 아지트일 수도 있다. - 인간은 어쩔 수 없이 장소에 집착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이다. - 그러다보니 평생 고향을 그리워하며 사는 실향민도 있고, 터전을 잃지 않기 위해 목숨을 걸며 싸우는 사람도 있다. - 꼭 그런 거창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학교 다닐 때 책상 가운데에 선을 긋고 넘어오면 내..
-
한과 명의 개국공신이랄까 feat. <명조나사사아明朝那些事儿>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21. 10. 27. 15:38
라는 책이 있다(단 한번도 책 제목을 한국어로 독음한 적이 없어서 어색하긴 하지만 어쨌든). 약 10여년 전에 당년명월이라는 이가 명나라 역사 속 인물들 이야기를 연재하였는데 이것이 공전의 히트를 쳤다. 중국인 친구가 하도 읽어보라고 권해서 읽기 시작했는데, 아니 정확히 말하면 오디오북으로 듣기 시작했는데, 꽤나 재미있다. 오디오북이 특히나 구수해서 듣는 맛이 있다. 내가 별로 관심없는 명나라 이야기인데도 말이다. 요즘은 랑야방 오디오북 듣느라 뒷전으로 밀렸지만. 게다가 요즘은 중국사 교과서 낭독도 같이 하고 있는데 여차 저차 해서 초한쟁투 부분을 보게 되었다. 가끔은 관심 없는 시대라도 읽어줘야 할 때가 있으니까 말이다. 중국은 분열된 시대가 재미있지 통일 제국 이야기는 재미가 없다. 그래서 내가 현대..
-
사고의 감옥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12. 2. 11. 22:04
이야기는 2006년 경남 창녕의 한 고분에서 완전한 형태의 여성 유골이 발굴되면서 시작한다. 16살로 추정되는 이 소녀에게는 '송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주인의 무덤에 순장을 당한 가녀린 이 유골은 정강이 뼈와 종아리 뼈가 비정상적으로 튀어 나와 있었다. 짐작컨대 이 소녀는 항상 무릎을 꿇고 있었어야 했던 듯 싶다. 다시 말하자면 이 소녀는 16년 인생을 무릎만 꿇고 살다가 주인이 죽자 무덤에 같이 묻혀 그 삶을 마감해야 했던 것이다. 중국이나 부여에는 예로부터 순장이라는 풍습이 있었다. 주인의 유고 시에 같이 묻히는 사람들은 그야말로 가축과 다름 없는 처지였다. 어떤 유골은 허리나 머리가 잘라져 나가 있었다. 아마도 생매장 당하기 전 저항하다가 무참히 살해된 것일 게다. 그야말로 사람이 사람 취급을..
-
-
위진남북조_방술_점복 관련 자료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10. 1. 16. 02:00
朱大渭 外 著 魏晉南北朝社會生活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8 제8장 宗敎信仰及鬼神崇拜 제2절 方術與天意崇拜 一. 借方術以通達天意 占星, 望氣, 風角, 讖緯, 占卜, 相術, 占夢은 사람들이 하늘의 뜻을 알기 위하여 자주 사용하던 방식임 ▼占星 占星은 星象을 인간사에 관련시켜서 星象의 변화로써 인간사의 吉凶을 점치는 방법 ⇨晉書․天文志: “昔在庖犧, 觀象察法, 以通神明之德, 以類天地之情, 可以藏往知來, 開物成務.” 占星術이 흥기한 연대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음. ⇨魏晋南北朝 시기, 점성술의 유행과 영향은 더 광범위해짐. 東漢末 侍中, 太史令은 星象을 빌려 漢이 曹魏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여론을 만들어내어 “前太白守天關, 與熒惑會, 金火交會, 革命之象也. 漢祚終矣, 晉, 魏必有興者.”라 하였으며 얼마 ..
-
북위 황제즉위사료 번역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3. 27. 16:02
北魏 皇帝卽位關聯史料 1 ·太祖 (魏書·卷一百八之一·禮志 2734) 天興元年,定都平城,卽皇帝位,立壇兆153)告祭天地.祝曰: 天興元年,平城에 도읍을 정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단을 세우고 천지에 고하는 제사를 올렸다. 祝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皇帝臣珪敢用玄牡,昭告于皇天154)后土155)156)之靈. 황제 신 규는 감히 검은 수소로써 하늘과 땅의 영께 밝히어 아뢰옵니다. 上天降命,乃眷我祖宗世王幽都. 상천이 명을 내리어 幽都에서 우리 조상 대대로 왕을 돌보셨습니다. 珪以不德,纂157)戎158)前緒159),思寧黎元160),龔行161)天罰. 규는 부덕하나 군사를 모아 선업을 잇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자했으며, 삼가 천벌을 받들어 행하였습니다. 殪劉顯,屠衞辰,平慕容,定中夏. 劉顯을 쓰러뜨리고, 衞辰을 무찔..
-
당고조 황제즉위사료 번역 (대당창업기거주)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3. 27. 15:55
唐高祖卽位告天冊文『大唐創業起居注』 武德元年,歲在戊寅,五月甲子,皇帝卽位于太極殿前,設壇于長安城南,柴燎告天,冊文曰: 武德원년, 戊寅年 5월 甲子일에 태극전 앞에서 황제가 즉위하여 장안성 남쪽에 단을 세우고, 섶을 태워 하늘에 고하는 제사를 올리고 冊文하였다. 「皇帝臣某,敢用玄牡昭告於皇天后帝76). 「황제 臣某가 감히 검은 수소로써 皇天后帝께 밝히어 아뢰옵니다. 生人以來,樹之司牧77),眷命78)所屬,謂之大寶79). 사람이 생긴 이후, 군주를 세워 (백성을) 돌보는 중임을 맡겨 이에 귀속되니 이를 일컬어 천자의 지위라 합니다. 曆數不在80),罔81)或偸安82). 천운이 다하면, 천자는 재앙을 겪고 눈앞의 안일만을 탐하게 되었습니다. 故舜禹至公,揖讓83)而興虞夏, 湯武兼濟,干戈以有商周. (그러나) 순왕과 우왕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