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Nulla dies sine linea - 길 안내를 주말에 노래를 들으며 야구 감독
    What am I doing? 2022. 11. 17. 13:59

     

    1. 할 수 있을 리가 없잖아
    옛날에는 길도 많이 가르쳐줬는데, 스마트폰이 보급된 이후에는 그럴 일이 별로 없다. 나야 원래 헤매더라도 꿋꿋이 물어보지 않는 스타일이고, 이리도 친절해 보이는 면상을 하고 있음에도 이제는 길을 묻는 이도 별로 없다. 그러다가 오늘 나이 지긋한 여성이 병원을 가야 한다면서 길을 묻는 것이다. "앞으로 가다가 사거리에서 왼쪽으로 돌아서"로 시작해야 하는 말인데 사거리가 생각이 안 나서 "싈쯔루커우(중국어)가 한국말로 뭐지 인터섹션인가" 이 지랄, 그나마 왼쪽도 오른쪽이라 말하면서 "오른쪽으로 터ㄹ언 하셔서요" 이 지랄. 거리만 가까웠으면 그냥 모셔다 드렸을 듯. 바로 얼마 전에도 외국인에게 한국어로 길 안내를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면서 이렇게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네가 길 가르쳐줄 일도 없지만, 표현만은 익혀보자. 자 내가 네게 전화해서 '나 지금 너희 집 근처 지하철역이야, 어떻게 갈지 알려줘' 하면 뭐라 할 건지 설명해봐 하니, '거기 있어 내가 지금 나갈게'라고 말하겠다고 해서 그것이 정답이라고 말하고 끝냈다. 길 안내를 전화로 설명하다니 이런 게 가능할 리가 없잖아.


    2. 주말 계획을 세운다는 것
    평일을 살아가다 보면 나도 모르게 많은 일을 주말로 미루게 된다. 물론 평일 낮의 삶을 살면서는 저녁으로 미루는 습관도 있지만 이것은 차치하고. 그리하여 나의 주말은 언제나 잡일 처리부터 시작해서, 읽어야 할 책, 봐야 할 영화, 연습해야 할 운동, 정리해야 할 품목, 배워야 할 것, 연습해야 할 곡 등등 휘황찬란한 todo 리스트로 가득하다. 그런데 정작 주말이면 게으름이 폭발해서 평일만큼의 잡일 처리 수준도 안 된다. 방에는 마법진 같은 결계를 쳐놓고, 한편으로는 커피와 곰팡이를 키메라로 연성하면서, 몸은 침대 위에 첩첩이 쌓아 올린 베개에서 떨어질 줄 모르니 말이다. 활동량이 플라나리아 수준이다. 그렇게 주말을 보내고 나면, 월요일 아침에 todo list 어플을 켜고 이미 밀려버린 일들의 날짜를 다음 주 주말로 변경한다. 이게 몇 달째 계속되고 있다. 이번 주말도 그렇게 보내고 크게 허탈함을 느낀 나머지 아예 주말 계획을 세우지 말자고 다짐하였는데, 역시나 hump day가 지나고 나니 스멀스멀 계획을 세우고픈 욕망이 꿈틀거린다. 나는 언제나 학습하는 생물이 될까.


    3. 플레이리스트
    음악을 많이 듣는 편이 아니다. 청각은 하나의 정보처리로 제한되어 있는데, 나는 외국어를 부단히 연습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책을 읽거나 글을 쓸 때는 기악곡 위주로 많이 듣는 편인데 듣다 보면 소나무 같은 취향을 깨닫게 된다. 내가 좋아하는 작곡가는 다음과 같다.

    하차투리안, 쇼스타코비치, 스트라빈스키, 드보르작, 시벨리우스, 림스키코르사코프, 글린카, 차이코프스키, 멘델스존, 프로코피에프, 무소르그스키, 그리그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중반까지의 러시아, 북유럽, 동유럽 작곡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하차투리안, 쇼스타코비치, 스트라빈스키를 가장 많이 듣는 듯. 여기에 조금 더 취향을 드러내자면 발레곡 감상을 좋아한다. 혹자는 발레곡이나 영화 ost곡은 종합예술의 부차적인 요소라 음악적으로 수준이 떨어진다고 말하는데, '음악성 개나 줘버려' 의 성향을 가진 나는 스토리성이 강하고 정경이 눈에 보일 듯이 그려지는 이런 곡들이 참 좋다. 유튜브에 발레곡 리스트가 영 빈약해서 매번 찾아들어야 하는 게 좀 귀찮다. 기존의 플레이리스트에는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과 <백조의 호수>는 좀 지겨운데 빠짐없이 들어가 있는 편이고 말이다(물론 차이코프스키의 실내악이나 피아노곡은 참 좋아한다. 다만 발레곡들이 너무 유명해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받는 게 아닌가 아쉬울 정도). 언젠가는 내가 좋아하는 발레곡 위주로 플레이리스트 편집하고 싶은데 또 그렇게 해놓으면 잘 안 듣는다는.

    4. 야구 감독의 WAR
    프로야구 감독은 연봉은 여타 인기 스포츠의 감독보다 적다. 아마도 감독의 승리 기여도가 적은 데서 연유한 것이 아닌가 싶다. 내 경험상으로도 감독이 좋은 팀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다. 있는 팀을 시스템대로 무리 없이 굴러가게 하는 정도가 감독의 최대 역량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 역으로 감독이 단기간에 팀을 망치기는 정말 쉬운 것 같다. 나는 그것을 두산의 송 모 감독에게서 봤다. 정말 어어 하는 순간에 높은 수준을 갖춘 한 단체가 나락에 빠지더라. 그리고 작금의 상황을 보면서 나는 송 모 감독의 기시감을 느낀다. 두산에게 호재였다면 1년 만에 경질시킬 수 있는 위기 대처 능력, 혹은 그래도 되는 시스템이 있었다는 것. 악재라면 우리나라에는 그런 게 없다는 것.

사고전서의 옳게 치우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