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而時習之不亦悅乎
-
상청파 덕후질 중學而時習之不亦悅乎/기타등등 2009. 2. 7. 18:06
그러니까 말이다. 난 어렸을 때부터 노자와 장자로 대표되는 도가철학을 아주 마음에 들어 했었다. 내 아나키즘적 사고는 노자의 소국과민론에 근거한 바가 크며, 기타 삶의 방식이랄까,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랄까, 모두 노자의 사상 (사실 장자는 too much라고 생각)으로 부터 받은 영향이 지대하다. 그런데, 이걸 어찌 정의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소위 도가의 종교적 변용이라 할 수 있는 도교에서는, 도사들의 양태라던가, 전개 양상이라던가, 교조라던가, 교단, 도장(도교 경전 모음)까지 현상적인 측면에서는 매우 재미있는 연구 주제이지만, 교리적인 측면에서는 참으로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받아들이기 힘들었다는 말은, 도교적 원리에 대해서 너희는 노자와 장자 사상에서 백만리 벗어나있다~!고 생각함을 의미한다. 도대체..
-
[펌] 중국 남북조 불교의 윤회설 수용과 그 갈등 - 차차석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2. 1. 04:06
1. 삼세양중인과론과 그 토착화 중국불교역사를 통해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지닌 사상은 무엇일까? 그것은 두말 할 것 없이 삼세양중인과설이라 말할 수 있다. 중국 불교사에서 명멸했던 숱한 사상가들이 등장하여 다양한 불교이론을 개발했지만 그것은 몇몇 지식인들을 위한 불교에 불과했으며, 그들이 영향력과 실용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삼세양중인과설과 결탁하지 않을 수 없었다. 흔히 무신론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 선종이나 번쇄한 이론을 전개하고 있는 화엄종, 천태종, 법상종 역시 그 저변에는 삼세양중인과설을 배제하면 대중성을 상실하고 만다는 치명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렇기에 대중성을 지향하면 할수록 교묘하게 삼세양중인과설을 활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많은 종파 중에서도 정토종은 삼세양중인과설과 ..
-
[펌] 위진 불교와 형신(形神) 논쟁 - 김영진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2. 1. 04:04
1. 머리말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 중국인들의 사유 양식은 커다란 변화를 겪는다. 물론 이런 변화가 결실을 맺기까지 내부에선 꽤나 심한 다툼이 있었다. 다툼의 종결이 꼭 한 쪽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사유 양식의 출현을 의미한다. 불교를 처음 접한 중국인들은 윤회설이나 보응설에 주목했다. 보응설은 한 인간의 나고 죽음뿐만 아니라 그 나고 죽음의 앞뒤 상황까지 문제 삼았다. 불교에서 다루는 삶은 중국의 기존 사유가 다룬 것보다 훨씬 폭이 넓었다. 이것은 불교가 윤회라는 틀로 시간 의식을 확장했기 때문에 초래된 상황이다. 중국인들은 보응이라는 형식을 만드는 핵심인 윤회주체는 뭐냐는 질문을 자연스레 제기했다. 이 문제와 관련해서 불교계는 중국의 전통적인 술어인 신(神) 개념을 사용했..
-
[펌] 중국불교 신멸신불멸논쟁 - 차차석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2. 1. 03:59
신이란 영혼이나 정신을 의미한다. 그리고 정신의 지속 여부는 윤회의 문제와 결부되어 일찍부터 중국 내부에서 많은 사람들의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현실중심적이고 내세관이 명확하지 않았던 중국인들에게 윤회를 가르치는 불교는 매우 이질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전래 초기의 이러한 상황을 실감나게 보여주는 것이 『이혹론』에 나오는 구절들이다. 모자가 저술한 이 책에 의하면 어떤 사람들이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반드시 태어난다고 하는데 사실입니까?” 하고 묻자 사람이 죽으면 혼백이 되는 것이며, 귀신이 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모자는 “영혼은 소멸하지 않는다. 다만 육체만이 썩어질 뿐이다. 육체는 예컨데 오곡의 뿌리나 잎과 같은 것이고, 영혼은 오곡의 씨앗과 같아서 뿌리와 잎은 나오면 반드시 시들지..
-
-
-
GRE student vs. Normal Person學而時習之不亦悅乎/언어 2008. 6. 22. 13:14
GRE STUDENT: Individuals who make their abodes in vitreous edifices would be advised to refrain from catapulting perilous projectiles. NORMAL PERSON: People who live in glass houses should not throw stones. GRE STUDENT: Scintillate, scintillate, asteroid minim. NORMAL PERSON: Twinkle, twinkle, little star GRE STUDENT: All articles that coruscate with resplendence are not truly auriferous. NORMAL..
-
숫타니파타_코뿔소경_영한대조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8. 6. 18. 04:09
숫타니파타 KHAGGAVISANASUTTA (코뿔소경) ♠ Having laid aside the rod against all beings, and not hurting any of them, let no one wish for a son, much less for a companion, let him wander alone like a rhinoceros. 살아 있는 것들에게 폭력을 쓰지 말라. 살아 있는 것들을 해치지도 말라. 너무 많은 자녀와 친구를 갖고자 하지도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In him who has intercourse with others affections arise, and then the pain which follows affection ; consid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