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而時習之不亦悅乎
-
-
金子修一 著 『古代中國と皇帝祭祀』 9장 상주문 요약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3. 27. 12:57
汲古書院, 平成13년. 제9장 『宋書』 禮儀志에 의한 南朝 上奏文의 연구 1. 서언 공문서의 형식은 국가의 의지형성의 과정이자, 여러 관청의 統屬관계를 반영하는 것임. 관료제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활용 됨. 이 분야에 대한 연구로 고대사 분야에서는 漢代와 唐代에 성과가 집중되어 있음. 漢代: 居延을 중심으로 하는 簡牘, 蔡邕의 『獨斷』,『史記』 三王世家. 唐代: 돈황과 토번의 고문서군의 발견, 公式令 佚文 등의 공문서형식 관련 문헌. 魏晋南北朝기간의 공문서에 관한 연구 축적은 극히 부족하며 공문서형식을 구체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사료가 극단적으로 부족함. 『宋書』禮儀志의 특수한 형식의 상주문을 통해 이 시기 공문서의 형식을 알아보고자 함. 2. 『宋書』 禮儀志 上奏文의 형식 『宋書..
-
金子修一 著 『古代中國と皇帝祭祀』 4, 5장 요약정리學而時習之不亦悅乎/문사철 2009. 3. 27. 12:47
pp.140-196 제4장 「위진남북조 황제제사의 추이」 제5장 「당대황제제사의 특징」 제4장 위진남북조 황제제사의 추이 1. 서언 • 진한제국의 성립하여 중앙집권체제가 정비되면서 새로운 황제권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권위의 근원을 보여주기 위한 황제 제사의 역할이 커짐. ex) 황제체제 부활을 계획한 중화민국대총통 원세개가 북경천단에서 시행한 남교사도 정권의 정통화와 국민의 지지가 필요불가결했기에 원세개가 종래금지하였던 국민의 제천의례에의 참가를 장려한 것임. • 종래 중국의 황제제사 연구는 유교해석학의 한 분야였음. 황제제사의 중심이 되는 남교와 종묘의 제사가 유교의 경전을 주된 전거로 하고 있어 제사의례의 해석학과 예학이 유교연구의 한 분야로서 발달해왔기 때문. 예학에서는 제사의례를 변화시킬 필요가 생..
-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되는 미드學而時習之不亦悅乎/언어 2009. 3. 24. 18:58
1.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되는 미드라... 이런 글 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영어 실력이지만, 원래 "하늘 천 따지 검을 현 누르 황"을 익히면 "하늘 천 따지"에 대해 떠들고 싶어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무식함을 무릅쓰고 글부터 싸지르고 보련다. 그런데 잠깐,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의문점. 과연 미드를 보는 것이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될까? 2. 대답부터 하자면 글쎄... 사람마다 원하는 영어실력이나 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섣불리 대답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확실히 Yes!라고 대답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냉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드를 통해 영어 공부를 하면 몇 가지 장점이 있다. ① 미국식 리듬과 액센트에 익숙해질 수 있다 한국에서 영어깨나 한다는 인간들이 영어로 인터뷰 하면 CNN 같은 곳에서는 여..
-
-
이슬람에 대해서 1學而時習之不亦悅乎/기타등등 2009. 2. 23. 17:00
얼마전에 이슬람 학생회에서 주도한 이슬람에 관한 강연회에 갔다 왔다. 강연자 이름은 너무 길어서 까먹었는데, 미국에서 태어난 그는 1996년인가 회심하여 지금은 열정적인 무슬림이 되었다고 하더라. 나는 평소 이슬람 자체에 대한 선입관은 없다고 믿어왔었는데도 불구하고, 이 강연회에 참석하기에 앞서, 얼굴을 베일로 가려야 하나 -_-; 나 혼자 얼굴 내놓고 있는 여자 아닌가, 동양인이라 너무 눈에 띄지 않을까 하는 걱정 아닌 걱정을 했었다. 그러나 도착해보니, 이건 무슨 호텔 결혼식 수준으로 테이블 셋팅이 되어있고, 서버들까지 동원되어 있는 호화로운 분위기라 깜짝 놀랬다. 참석한 사람들도 몇백명이나 되고 말이다. 여지없는 기우였다. 식전에 앞서 이슬람에 대한 브로셔등을 읽어보고, 포스터 등을 보면서 이쪽 문..
-
책學而時習之不亦悅乎/기타등등 2009. 2. 20. 13:09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인문/역사/인물/지리분야 하룻밤의 지식여행 시리즈 명상록/행복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세네카 비극의 탄생: 니체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B 러셀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진중권 춤추는 죽음: 진중권 철학의 즐거움: 후지사와 고노스케 위대한 사상가들: 카를 야스퍼스 불교의 선악론: 안옥선 마음의 진보: 카렌 암스트롱 기독교의 교파: 남병두 성상 파괴주의자와 성상 옹호주의자: 진형준 고대 근동의 신화와 종교: 강성열 하상주 단대공정: 웨난 주신구라: 이준섭 중국 역사 이야기: 박덕규 무협: 문현선 오스만 제국은 왜 멸망했는가?: 앨런 파머 변신이야기: 김선자
-
책學而時習之不亦悅乎/기타등등 2009. 2. 13. 16:01
영등포구 전자책 도서관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이옥순/푸른역사 실패한 교육과 거짓말/노암 촘스키/아침이슬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 대한민국 30대를 위한 심리치유 카페/김혜남/갤리온 다빈치 코드의 비밀 - 최고 전문가 46인이 밝히는 진실과 허구/댄 버스틴(Dan Burstein)/루비박스 말과 황하와 장성의 중국사 - 중국사의 흥망을 읽는 새로운 시각/니시노 히로요시/북북서 초기 기독교 이야기/진원숙/살림출판사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박한제외/사계절 에피스도로 엮은 클리색 음악 100/ 모리모토마유미/ 반디출판사 유럽 건축 뒤집어 보기 - 감성과 이성의 경계에서 유럽을 말하다/김정후/효형출판사